12 : 12
The work 12:12 is the question about time, which was made with images shot in Germany, France, Australia and Korea. At each moment when we repeat meeting and separating over and over again like ceaseless wind, I ask how awake we live.
The work ’12:12’ expresses various kinds of time that humans divided implicitly, which can mean that each divided portion time is opposing each other selectively. Each portion of time named all differently in daily lives moves in the regular patterns while they hold their own standards. However, when we face time, as if we stood in front of the mirror, we only focus on the objects shown selectively by the focal point that moves with each being’s free will, on the part of the object, or on the objects that we chose to see rather than each moment that we encounter.
In other words, being awake at each mo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individual’s choice or even impossible. Therefore, we are able to stay in different past, future or present in the same time, and we can move around different time and space very voluntarily. That is, we, when we live the present, experience different time in the same time frame.
The combination of ‘month’ and ‘day’ that is displayed as ‘hour’ and ‘minute’ is written symbolically like time in the clock, and expresses small units of time through big units implicitly. Certain marks of time that appear constantly in the work which seems like 12 hour long story might be either missed easily or focused more intensely through the flow of the images while the work is watched.
While audiences watch the works, I intentionally make the audience miss the symbol and sound of time, and recommend them to follow the time I decided arbitrarily or let it go, so that they can stay at the moment for a while. Through the works, I let audiences think about the selective time that they miss or focus on, so that they can ask themselves how much they can feel the present that they face at each moment.
12 : 12
독일, 프랑스, 호주, 한국에서 촬영된 영상들로 제작된 12 : 12는 시간에 관한 물음이다. 마치 멈추지 않는 바람처럼,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며 현재 살고 있는 ‘지금’이라는 매순간에 우리는 얼마나 온전히 깨어 살고 있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작품명 12 : 12는 인간이 나누어 놓은 다양한 종류의 시간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각각의 시간이 선택적으로 팽팽히 대립하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상 안에서 각각의 다른 이름들로 명명되어진 시간들은 저마다의 축을 가지고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우리가 시간을 대할때에는, 마치 거울앞에 선 생명체처럼, 각자의 자유의지로 움직이는 초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여지는 대상 또는 그 대상의 일부분, 혹은 보이는 대상이 아닌 내가 집중하고 있는 그 이외의 것들에 대해, 만나게 되는 매 순간보다 내가 보려고 선택한것에 한해서만 집중적으로 보고 느끼게 된다.
다시 말해 매 순간에 온전히 깨어있음은 각자의 선택에 따라 가능하거나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우리는 동시에 주어지는 매 순간의 같은 시간안에서 각자 다른 과거나 미래 혹은 현재에 머무르는 것이 가능하며, 매우 자유로운 자의적 시공간적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달리 말하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매 순간 같지만 같지 않은 각자의 다른 시간위에서 다른 시간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것이다.
작품 안에서 ‘시’와 ‘분’으로 보여지는 ‘달’과 ‘일’의 조합은 마치 시계속의 시간처럼 상징적으로 표기되어 시간의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마치 12시간동안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작품에 계속 등장하는 어떤 시간의 표시들은,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영상의 흐름에 따라 쉽게 놓치게 되거나 더욱 집중하게 된다.
나는 의도적으로 관객이 작품을 관람하는 동안 시간의 상징과 사운드가 잘 느껴지게 때론 놓치기 쉽게 장치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내가 임의로 정한 시간을 따라오거나 흘려보내게 하며 때로는 잠시 머무르게 권유한다. 작품을 통해 나는 관객들에게 자신이 스스로 놓치거나 집중하는 선택적 시간들에 관해 생각하게 하여, 매 순간 맞이하는 현재를 얼마만큼 풍요롭게 느끼며 살고 있는지에 관해 자문하게 한다.